안녕하세요? 😊
오늘은 가격 인식에 영향을 주는 행동 경제학 또는 심리적 가격 중 하나를 소개할게요.
[밴드왜건 효과란?]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편승 효과는 종종 들어보셨을 텐데요. 다수의 선택에 편승해서 상품을 소비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 이러한 경향을 따라 소비하는 수요도 더 증가하는 현상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에 편승하고 싶은 심리가 적용되는 것이지요. 이를 심리학에서는 다른 말로 '사회적 증거의 원리'라고도 부릅니다.
가장 대표적인 밴드왜건 전략으로 성공한 기업이나 브랜드로는 애플, 나이키, 테슬라, 스타벅스 등이 있습니다. 모두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브랜드 기업이지요? 몇 년 전 SNS를 통해 화제가 되어 인기를 끌었던 허니버터칩, 삼립의 포켓몬빵, 최근에는 먹태깡 사례 역시 소비자들이 유행에 편승해 대량으로 구매한 사례입니다.
프라이싱 강의를 들으신 한 대표님이 대량 매입한 상품을 판매하는 데 밴드왜건 전략과 품질 지표로의 가격을 활용하여 고객이 해당 행사에 길게 줄서기를 했더니 모두 판매가 되었다고 사례 발표를 한 기억이 생생합니다.
[스놉 효과 - 희소성 강조]
밴드왜건 효과와 반대되는 현상은 "스놉 효과(Snob Effect)", 백로 효과입니다. 다른 사람들이 소비하면 오히려 그 상품에 편승하지 않으려 하는 심리로, 차별화를 시도하는 소비 현상을 일컫습니다. 남들과는 달라 보이고 싶은 욕망이 내재되어 있는 것입니다. 스놉(snob)이란 원래 '잘난 척하는 속물'을 뜻하는 용어로, 까마귀 무리 속에서 혼자 우아하게 떨어진 백로의 모습과 같다고 하여 백로 효과라고도 불립니다. '리미티드 에디션 제품'과 같은 한정판 제품이 이러한 스놉 효과를 노린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놉 효과를 활용하는 기업이나 브랜드로는 롤렉스, 페라리, 샤넬, 빈센트 앤 코와 같은 유명한 명품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놉 효과는 제품의 희소성, 차별화된 가치, 품질, 그리고 고객의 충성심이 뒷받침되어야 사용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오늘은 밴드왜건 효과와 함께 스놉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사례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2024.05.16. |
|
|
*그림을 누르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1. 아이폰 15 오픈런, 스놉효과+밴드웨건 효과 |
|
|
지난해 10월에 출시되었던 아이폰 15의 '오픈런'사태를 스놉효과와 밴드웨건 효과로 분석한 기사입니다.
경제 심리 이론의 적용: 스놉효과와 밴드웨건 효과
- 스놉효과 정의: 1950년 미국의 경제학자 하비 라이벤스타인에 의해 처음 소개된 이론으로, 소비자가 제품의 희소성이나 차별화된 가치를 중시할 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제품의 가격이 오를수록 그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가격이 떨어지면 수요가 감소합니다.
- 밴드웨건 효과 정의: 밴드웨건 효과는 사람들이 대중의 행동을 따라 함으로써 발생하는 사회적 심리 현상입니다. 이 효과는 선거 유세에서도 자주 사용되며, 다른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을 따라 하는 경향을 설명합니다. 이 현상은 소비자가 다른 사람들이 소비하는 것을 보고 자신도 소비해야 한다고 느끼게 만듭니다.
경제적 및 심리적 영향 분석
- 경제적 영향: 아이폰과 같은 인기 제품의 출시는 일시적으로 시장에서의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제품 가격과 주변 액세서리 및 관련 제품의 가격 동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영향: 밴드웨건 효과와 스놉효과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특히 높은 브랜드 가치를 지닌 제품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납니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속한 사회 집단 내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구매 결정을 내리게 되며, 이는 때로는 불필요한 지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로고 하나 박았을 뿐인데… ‘그 신문’은 왜 품절됐을까
|
|
|
경제학에서 '네트워크 효과'란 상품이나 서비스의 가치가 사용자 수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양(+)의 효과로 남들이 구매하면 본인도 구매하고 싶어지는 밴드웨건 효과를 포함하거나, 음(-)의 효과로 너무 흔해지면 구매 욕구가 떨어지는 스놉 효과를 포함합니다.
한정판 제품의 상업적 활용
- 한정판 전략: 많은 브랜드가 희소성을 높이기 위해 한정판 제품을 출시합니다. 예를 들어, 앱솔루트 보드카는 유명 예술가와 협력하여 한정판을 제작하며, 나이키, 삼성전자, 아모레퍼시픽 등도 유명인이나 디자이너와 협력한 한정판 제품을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 수프림의 사례: 2018년 수프림은 뉴욕포스트 신문 첫 페이지에 로고를 넣어 한정판으로 출시했고, 이는 순식간에 품절되며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한정판 전략의 위험성과 한계
- 부정적 사례: 한 멕시코 사업가는 유명 화가 프리다 칼로의 그림을 불태우는 퍼포먼스를 통해 자신이 만든 NFT의 희소성을 극대화하려 했으나, 대중의 반응은 부정적이었고, 문화재 훼손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었습니다.
- 스놉 효과의 위험: 희소성만을 강조하다 보면, 제품의 진정한 가치와는 동떨어진 마케팅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소비자에게 실망을 주거나 브랜드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한정판 제품과 스놉 효과는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며, 희소성과 독특성을 강조하는 마케팅은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지만, 이를 남용하거나 잘못 관리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전략을 사용할 때는 신중한 접근과 함께 소비자의 실제 필요와 기대를 고려해야 합니다.
3. 스놉 효과, 당신의 지갑을 노리는 마케팅 전략들 |
|
|
스놉 효과는 마케팅 전략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 효과를 잘 관리하지 않으면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합리적인 소비를 장려하고 진정한 제품 가치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놉 효과의 정의
- 스놉 효과: 다른 사람과 차별화를 추구하며, 일반적인 제품의 소비가 늘어날수록 그 제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소비 심리 현상입니다.
- 백로 효과: 또 다른 명칭으로, 소비자가 자신만의 개성을 추구하여 남과 다른 제품을 선택합니다.
스놉 효과의 사회적 배경
- 19세기 스노비즘: 계급 사회에서 자신을 상위 계급인 것처럼 포장하려는 행위에서 유래했습니다.
- 현대 스노비즘: 전문성이나 지식을 과시하는 현대적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전문적인 지식이나 스타일을 과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스놉 효과와 관련된 마케팅 전략
- 고가 전략: 제품의 가격을 높게 설정하여 제품의 독점성과 희소성을 강조합니다.
- 리미티드 제품: 한정판 제품을 통해 제품의 희소성과 독특함을 강조하여 소비를 유도합니다.
- 디마케팅 전략: 고의적으로 제품의 판매를 제한하여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증가시키는 전략입니다. 예를 들어 롤스로이스나 루이비통 같은 브랜드가 이 전략을 사용합니다.
스놉 효과의 효과와 한계
- 효과: 브랜드의 독특성과 고급 이미지를 강조하여 특정 소비자층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 한계: 과도한 허영심이나 열등감을 부추길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보다는 외형적인 가치를 중시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4. 크롬하츠(Chrome Hearts) : 대체불가능한 악세서리 브랜드 |
|
|
크롬하츠는 그 독특한 디자인과 제품 철학으로 대체 불가능한 브랜드로 자리잡았습니다. 소수만이 접근할 수 있는 고급스러움과 희소성은 크롬하츠 제품이 지니는 가장 큰 매력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점들이 크롬하츠를 패션 악세서리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에 서게 합니다.
크롬하츠의 설립 배경
- 설립자: 리차드 스타크, 원래 목수로 일하다가 가죽 제품 제작에 관심을 가지고 창업하였습니다.
- 창업 과정: 리차드 스타크는 1988년에 존 바우만(가죽 제품 제작자)과 레오나드 캄호트(보석상)와 함께 협업하여 크롬하츠를 설립했습니다.
크롬하츠의 특징과 성장
- 브랜드 명칭: 영화 "크롬하츠"에서 영감을 받아 브랜드 명을 정했습니다.
- 매니아층 형성 : 록 밴드와 헤비메탈 팬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는 것을 시작으로 브랜드 인지도가 높아지자, 헐리우드 배우와 뮤지션, 바이커 등 각종 분야의 셀럽들이 연이어 크롬하츠 제품을 착용했습니다. 소비자들이 셀럽들의 패션에 관심을 가지며, 광고 없이 입소문으로 대중에게 인기를 얻게 되었습니다.
- 제품 특성: 악세서리에 특화되어 있으며, 고딕 양식과 펑크 록 문화를 반영한 독특한 디자인이 특징입니다.
크롬하츠의 철학과 운영 원칙
- 수공예 중심: 모든 제품을 수작업으로 제작, 일반적인 실버 가공 제품보다 최대 10배 이상의 시간 소요됩니다.
- 소량 생산: 고집스럽게 소량 생산을 유지하며, 최상급 품질만을 고집하는 정책을 폈습니다.
- 마케팅 전략: 초반에는 직접적인 광고보다는 입소문과 고객의 재구매를 통한 자연스러운 홍보 효과를 추구했습니다. 고객 요청에 의한 주문생산만 진행했으나, 뉴욕 매장을 시작으로 대중을 상대로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핸드메이드를 통한 소량 생산만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당 재고는 극소수에 불과합니다.
|
|
|
위닝프라이싱 5월 교육 과정 일정 확인해 보세요!
얼리버드 혜택도 놓치지 말고 확인해 주세요.
|
|
|
위닝프라이싱 Winning Pricing
contact@winningpricing.com
|
|
|
|
|